google-site-verification=_wlCnU2WFvgCSz3nrZVZww1zh2mvnJcNPlRtD4qo4IQ
본문 바로가기
교육 및 일상 정보

미얀마 7.7 강진 발생 태국 방콕 피해 현황 및 대응 방안

by 허선생 의 하루 2025. 3. 29.
728x90

2025년 3월 28일, 미얀마 중부 지역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하여 광범위한 피해와 인명 손실을 초래했습니다. 이번 지진은 미얀마뿐만 아니라 인접 국가인 태국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국제사회의 긴급한 대응이 요구되고 있습니다

반응형

1. 지진 발생 개요 및 피해 현황

이번 지진은 현지 시각 낮 12시 50분경 미얀마 사가잉 지역에서 북서쪽으로 약 16km 떨어진 지점에서 발생했습니다. 진원 깊이가 10km로 비교적 얕아 지표면에 미치는 영향이 컸습니다. 미얀마 군사정권의 발표에 따르면, 현재까지 최소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을 입은 것으로 집계되었습니다.

특히, 제2의 도시인 만달레이에서는 종합병원에만 최소 20명의 사망자와 300명의 부상자가 발생한 것으로 보도되었습니다. 이러한 수치는 앞으로 더욱 증가할 것으로 예상됩니다.

2025년 3월 28일, 미얀마 중부에서 규모 7.7의 강진이 발생하며 대규모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초래했습니다. 진앙은 만달레이 서남서쪽 약 33km 지점으로, 진원의 깊이는 10km로 관측되었습니다. 이후 12분 뒤 규모 6.4의 여진이 이어지며 피해는 더욱 심화되었습니다.

  • 사상자 현황: 미얀마 군정 수장 민 아웅 흘라잉 최고사령관은 이번 지진으로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했다고 발표했습니다.
  • 주요 피해 지역: 만달레이, 네피도, 사가잉 등 주요 도시는 건물 붕괴와 도로 단절로 큰 피해를 입었습니다. 특히 만달레이에서는 호텔과 다리가 붕괴되며 다수의 인원이 매몰되었습니다.
  • 공항 폐쇄: 네피도와 만달레이 공항이 폐쇄되었으며 항공편 운항이 전면 중단되었습니다.

 태국 방콕까지 영향을 미친 강진

이번 지진은 진앙에서 약 1,300km 떨어진 태국 방콕에서도 심각한 피해를 초래했습니다.

  • 건물 붕괴: 방콕 짜뚜짝 시장 인근의 건설 중이던 30층 고층 빌딩이 무너져 5명이 사망하고 117명이 매몰되었습니다
  • 주민 대피: 방콕 전역에서 건물 흔들림이 감지되며 주민들이 거리로 대피했고, 쇼핑몰과 아파트 등에서도 혼란이 발생했습니다
  • 정부 대응: 태국 정부는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여진에 대비해 전철 운행을 중단하며 고층 건물 접근을 통제했습니다


2. 주요 피해 지역 및 상황

지진으로 인해 미얀마 곳곳에서 심각한 피해가 보고되고 있습니다. 만달레이와 인접한 사가잉시를 연결하는 90년 된 다리가 붕괴되었으며, 중부 아웅반 지역에서는 3~4층 규모의 호텔이 무너졌습니다. 또한, 만달레이에서는 호텔이 기울어지고 왕궁과 여러 건물이 파손되었으며, 도로와 고속도로가 끊어지는 등 교통 인프라에도 큰 타격을 입었습니다.

인접 국가인 태국 방콕에서도 지진의 영향으로 건설 중이던 30층 높이의 빌딩이 붕괴되어 최소 8명이 사망하고 수십 명이 매몰되는 사고가 발생했습니다.

728x90

3. 미얀마 정부의 대응 및 국제사회의 지원

미얀마 군사정권은 이번 지진으로 피해를 입은 6개 지역에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에 인도주의적 지원을 요청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는 긴급관리체계를 가동하여 의료 물품 지원을 준비하고 있으며, 유럽연합(EU)과 프랑스 등 여러 국가와 국제기구가 지원 의사를 밝혔습니다. 

그러나 미얀마의 열악한 인프라와 내전으로 인한 혼란, 그리고 경제적 어려움이 구호 활동을 더욱 복잡하게 만들고 있습니다. 특히, 군사정권의 정보 통제와 이동 제한은 구조 작업과 지원 물자 전달에 큰 장애물이 되고 있습니다.


4. 향후 전망 및 주의사항

미국 지질조사국(USGS)은 이번 지진으로 인한 사망자가 1,000명을 넘을 확률이 70% 이상이라고 추정하고 있습니다. 또한, 규모 6.4의 여진이 뒤따를 것으로 예상되어 추가 피해가 우려됩니다. 현지 주민들과 여행객들은 당분간 고층 건물이나 노후화된 구조물에 접근을 자제하고, 당국의 지시에 따라 안전한 장소로 대피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5. 함께하는 연대와 지원의 손길

이번 미얀마 지진은 자연재해의 무서움을 다시금 상기시켜주고 있습니다. 피해 지역 주민들은 지금도 구조의 손길을 기다리고 있으며, 국제사회의 연대와 지원이 절실합니다. 우리 모두가 작은 관심과 도움의 손길을 모은다면, 그들에게 큰 힘이 될 것입니다. 지금 바로 국제 구호 단체나 관련 기관을 통해 미얀마 지진 피해 복구를 위한 기부에 동참해 주시길 바랍니다


요약

2025년 3월 28일, 미얀마 중부에서 발생한 규모 7.7의 강진으로 최소 144명이 사망하고 732명이 부상을 입었습니다. 만달레이와 사가잉 등 주요 도시에서 건물과 다리가 붕괴되는 등 심각한 피해가 발생했으며, 태국 방콕에서도 건설 중이던 빌딩이 무너져 인명 피해가 있었습니다. 미얀마 군사정권은 비상사태를 선포하고 국제사회의 지원을 요청하였으며, WHO와 EU 등 여러 국제기구와 국가들이 지원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추가 여진이 예상되므로 현지 주민들과 여행객들은 당국의 지시에 따라 안전에 유의해야 합니다.

반응형